본문 바로가기

사건2445

사라진 담보 : 부동산 이중저당권 설정과 배임죄 김철수는 평범한 부동산 중개인이었다. 그날도 어김없이 고객들과 전화 통화를 하며 바쁜 하루를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운명적인 날, 그의 사무실 문을 열고 들어온 박상민의 등장으로 그의 인생은 예기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가기 시작했다. “김 선생님, 이번에 아주 좋은 투자 기회가 있습니다.” 박상민은 사업가로 유명한 인물이었고, 부동산 매매로 상당한 이익을 챙겨왔다. 김철수는 그의 말에 귀를 기울였다. 박상민은 서울 중심부에 있는 한 고급 아파트를 담보로 대출을 받으려는 상황이었다. 철수는 그 아파트의 가치를 잘 알고 있었고, 상민의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그를 도와주기로 결심했다. “연 20%로 18억을 빌려 드리겠습니다. 대신 아파트를 담보로 저당권을 설정해 주셔야 합니다.” 상민은 고개를 끄덕이며 "물론.. 2024. 9. 24.
보험사고와 정신적 상태: 자살과 보험금 지급에 대한 대법원의 최신 판결 분석 최근 대법원에서 선고된 2024다230329 판결은 보험계약에서 자살과 관련된 중요한 법리적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번 판결은 보험금 지급을 둘러싼 논란에서 정신적 상태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사례입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판결을 중심으로 자살과 보험금 지급에 대한 법적 기준을 살펴봅니다. 1. 사건 개요 이 사건의 원고들은 자녀를 잃은 부모입니다. 원고들의 자녀(이하 '소외인')는 2021년 11월 30일, 오피스텔 15층에서 투신하여 사망했습니다. 소외인은 피보험자로서 사망보험금을 포함한 보험계약을 체결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해당 보험계약의 약관에는 "피보험자가 고의로 자신을 해친 경우"에는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는다고 명시되어 있었으며, 단 예외적으로 "심신상실 등으로 자유로운.. 2024. 8. 30.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 상가 건물 철거·재건축 계획 등의 고지가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에 해당하는지 1. 서론 최근 대법원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하 '상가임대차법')과 관련하여 중요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법원 2024다232530 손해배상(기) 판결입니다. 이 판결은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 제1항에 규정된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의 요건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며,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권리금 회수에 관한 법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판결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상가임대차법의 권리금 회수 보호 조항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사건의 배경 이번 사건에서 원고는 2018년 피고와 서울 강서구의 한 건물에서 음식점을 운영하기 위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계약이 갱신되었으며, 2022.. 2024. 8. 27.
상속재산 분할과 임대차보증금 반환 문제: 공동상속인의 임대차보증금 반환, 구상권 행사 가능할까? 1. 서론상속 재산 분할과 관련된 문제는 민법과 상속법의 교차점에서 종종 복잡한 법적 쟁점을 야기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대법원에서 판결된 "부당이득금" 사건(대법원 2023다318857)을 중심으로 상속재산 분할 후 발생한 임대차보증금 반환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다뤄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상속인 간의 권리와 의무, 특히 임대차계약에서 발생하는 보증금 반환 문제에 대해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2. 사건의 배경망인은 2014년 8월 23일 사망하였고, 상속인으로는 배우자(소외 2)와 자녀(원고, 피고, 소외 3, 소외 4)가 있었습니다.2019년 5월 9일, 배우자 소외 2가 사망하면서, 망인의 상속재산 분할 심판 절차가 진행되었습니다.대구고등법원은 2020년 12월 21일, 피고가 상.. 2024. 8. 26.
대법원 판례로 본 대여금 소송의 핵심 쟁점: 상계와 민법 제496조의 적용 최근 대법원에서 판결된 2024다204696 대여금 사건은 대여금 반환 소송에서 자주 쟁점이 되는 '상계(相計)'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판단을 제시했습니다. 이 판결은 민법 제496조의 유추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기망행위와 대여금 계약 사이의 법적 관계를 명확히 하고 있어, 대여금 분쟁에 직면한 이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1. 사건 개요와 쟁점 이 사건의 원고는 피고에게 일정 금액을 대여한 후, 피고가 이를 변제하지 않자 미지급 대여금 및 이자에 대한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피고는 일부 상계 항변을 제기했으나, 원고는 피고의 기망행위를 이유로 민법 제496조의 유추적용을 주장하며 상계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민법 제496조는 “채무가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 2024. 8. 26.
대법원, 후원금 반환 인정 판결: 후원금 사용의 투명성 문제와 법적 권리 2024년 8월 1일 대법원은 후원금 반환 청구 사건에 대해 중요한 판결(대법원 2024다206760 후원금반환 청구의 소)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양로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후원금을 반환해 달라는 청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사건의 원고는 2017년 8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월 5만 원씩 31회에 걸쳐 후원금을 송금하였고, 이 후원금이 본래의 취지에 맞게 사용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법적 다툼을 벌이게 되었습니다.​사건의 배경​이 사건의 피고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양로시설과 사회복지시설 등을 운영하는 법인으로, 원고는 이 법인이 운영하는 위안부 피해자 생활시설의 홈페이지에 안내된 계좌로 후원금을 납입해 왔습니다. 그러나 후원금이 실제로는.. 2024.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