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전문 133

채권자가 변제받은 금전이 편취된 것임을 알지 못했고, 변제 받은 데에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채권자는 변제받은 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없다.

등장인물- 피고 B: 부당이득금반환 사건의 피고- 변호사: 피고의 법률 대리인 피고 B: 변호사님, 이번에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에서 원고가 6,227,500원을 청구했잖아요. 저는 그 금액을 C라는 이름의 사람에게 받은 것이었는데, 이게 왜 문제가 되는 건가요? 변호사: 네, 선생님이 중고거래를 통해 4,700달러를 매도하고 그 대금을 받은 것이죠. 그런데 원고 측에서 주장하는 건, 그 돈이 원고가 보이스피싱 피해로 인해 잃어버린 돈이라는 겁니다. 피고 B: 맞아요, 그 돈이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줄 전혀 몰랐어요. 그냥 제가 거래를 하고 받은 돈일 뿐인데, 이게 어떻게 부당이득이 될 수 있죠? 변호사: 우선, 부당이득이라는 것은 상대방에게 법률적으로 이유 없이 이익을 취한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번..

부동산 매매에서 공인중개사의 주의의무 범위 : 공인중개사가 채무인수와 같은 법적 성격을 조사하고 설명할 의무는 법률사무에 해당하기 때문에, 공인중개사의 주의의무에 포함되지 아니함.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대법원 판결(2024다239364)을 토대로 임대차보증금 반환 문제와 관련된 공인중개사의 책임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사건 개요 원고는 울산 중구에 위치한 한 부동산의 소유자이다. 2018년 11월 20일, 원고는 한국에너지공단과 해당 부동산에 대해 임대차보증금 2억 원을 설정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였다. 이후, 원고는 2020년 5월 16일 소외 1과 매매대금 2억 8,000만 원의 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 매매계약의 조건 중 하나는 임대차보증금 2억 원을 소외 1이 인수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매매대금에서 이를 공제하기로 하였다. 2020년 5월 18일, 원고는 임대차보증금을 공제한 잔금을 소외 1로부터 지급받았고, 소외 1에게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 완료해주었다. 그러나..

부동산 매매 계약 해제 관련 대법원 판결 : 부동산 매매 계약에서 매도인의 의무 불이행 시 매수인은 이행 준비만으로 계약 해제 가능

2024년 9월 13일 대법원은 부동산 매매계약 해제에 관한 중요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이 판결은 잔금 지급과 부동산 매매 계약 의무 이행에 관한 쌍방의 관계를 다루고 있어, 부동산 거래를 고려하시는 분들에게 유용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판결을 통해 계약 의무 이행, 이행지체 및 이행불능에 따른 계약 해제의 법리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사건의 개요 원고(구매자)는 2022년 5월 16일 피고(판매자)로부터 강원도 평창군에 위치한 부동산을 2억 2천만 원에 매수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계약금 2천만 원을 지급했습니다. 계약서에는 잔금 2억 원을 2022년 6월 15일까지 지급하기로 되어 있었으며, 특약 사항으로 "잔금 지급 시 지붕, 외벽, 마당 콘크리트 공사를 완료한다"는 조..

손해경감조치의무 불이행과 손해의 확대 사이 상당인과관계

1. 서론 사고나 불법행위로 피해를 입으면 우리는 자연스레 손해배상을 요구하게 됩니다. 하지만 손해배상의 범위나 액수를 정할 때, 단순히 사고로 발생한 피해만을 고려하지는 않습니다. 사고 이후 피해자가 취한 조치, 즉 손해경감조치에 대한 여부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손해경감조치의무’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이 불이행될 경우 손해와 불법행위 사이에 어떻게 상당인과관계가 형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 손해경감조치의무란? 손해경감조치의무는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의무를 말합니다. 이는 단순히 피해를 보고 가만히 있지 말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행동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차 사고로 차량이 파손되었을 때 피해자가 자동차 수리를..

임차인의 전기 증설 공사, 임대인이 협조해야 하는 이유는? : 임대인은 임차인의 전기 증설 요구에 협력할 의무가 있다는 법원 판결

1. 서론 최근 의정부지방법원에서 전기증설공사와 관련된 흥미로운 판결이 있었습니다. 사건 번호는 2023가합51823으로, 임차인과 임대인 간의 전기증설 문제를 다룬 내용입니다. 오늘은 이 판결을 소개해 보려고 합니다. 2. 사건 개요 A씨(원고)는 B씨(피고)의 건물 내 상가를 임대받아 컴퓨터 용품점을 운영하던 중, 아이스크림 판매업으로 업종을 변경하게 됩니다. 업종 변경으로 인해 냉장고 등의 전기 용량이 커져 기존의 계약 전력인 5kW로는 전력 사용이 부족하다고 판단한 A씨는 B씨에게 전력 증설(8kW로) 동의 요청을 했습니다. 그러나 B씨는 전력 증설에 협조하지 않았고, A씨는 결국 전기증설공사 동의 절차 이행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하게 되었습니다. 3. 판결 요약 법원은 임대차 계약서의 내용을 면..

토지 사용에 관한 부당이득 반환과 주위토지통행권 : 토지 무단 사용 주장에 대하여 주위토지통행권을 인정하면서도 부당이득 반환의 범위를 감정 임료의 45%로 제한한 사건

1. 도입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고등법원 2015나1217 판결을 중심으로 토지 사용과 관련된 두 가지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판례는 주로 부당이득 반환 청구와 주위토지통행권에 대한 법적 쟁점을 다루고 있어, 이와 관련된 법적 분쟁에 관심이 있는 분들에게 유용할 것입니다. 2. 사건 개요 이 사건은 원고 A가 소유한 토지 일부를 피고 B가 호텔 운영을 위해 출입로로 사용하면서 발생한 분쟁입니다. 피고는 원고의 토지를 무단으로 사용해 호텔 운영을 계속해왔으며, 이에 대해 원고는 사용에 따른 부당이득금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원고는 피고가 자신의 토지를 무단 점유하고 사용했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발생한 임료 상당액을 부당이득금으로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에 대해 법원은 피고가 토지를 무단으로 사..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과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 상가 건물 철거·재건축 계획 등의 고지가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에 해당하는지

1. 서론 최근 대법원은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하 '상가임대차법')과 관련하여 중요한 판결을 내렸습니다. 대법원 2024다232530 손해배상(기) 판결입니다. 이 판결은 상가임대차법 제10조의4 제1항에 규정된 ‘권리금 회수 방해행위’의 요건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며, 임대인과 임차인 간의 권리금 회수에 관한 법적 갈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떻게 판단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이 글에서는 해당 판결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상가임대차법의 권리금 회수 보호 조항이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사건의 배경 이번 사건에서 원고는 2018년 피고와 서울 강서구의 한 건물에서 음식점을 운영하기 위해 임대차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후 계약이 갱신되었으며, 2022..

사건24 2024.08.27

상속재산 분할과 임대차보증금 반환 문제: 공동상속인의 임대차보증금 반환, 구상권 행사 가능할까?

1. 서론상속 재산 분할과 관련된 문제는 민법과 상속법의 교차점에서 종종 복잡한 법적 쟁점을 야기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 대법원에서 판결된 "부당이득금" 사건(대법원 2023다318857)을 중심으로 상속재산 분할 후 발생한 임대차보증금 반환과 관련된 법적 쟁점을 다뤄보겠습니다. 이 사건은 상속인 간의 권리와 의무, 특히 임대차계약에서 발생하는 보증금 반환 문제에 대해 중요한 법적 기준을 제시하였습니다.​2. 사건의 배경망인은 2014년 8월 23일 사망하였고, 상속인으로는 배우자(소외 2)와 자녀(원고, 피고, 소외 3, 소외 4)가 있었습니다.2019년 5월 9일, 배우자 소외 2가 사망하면서, 망인의 상속재산 분할 심판 절차가 진행되었습니다.대구고등법원은 2020년 12월 21일, 피고가 상..

사건24 2024.08.26

대법원 판례로 본 대여금 소송의 핵심 쟁점: 상계와 민법 제496조의 적용

최근 대법원에서 판결된 2024다204696 대여금 사건은 대여금 반환 소송에서 자주 쟁점이 되는 '상계(相計)'와 관련된 중요한 법적 판단을 제시했습니다. 이 판결은 민법 제496조의 유추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와 함께, 기망행위와 대여금 계약 사이의 법적 관계를 명확히 하고 있어, 대여금 분쟁에 직면한 이들에게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될 것입니다. 1. 사건 개요와 쟁점 이 사건의 원고는 피고에게 일정 금액을 대여한 후, 피고가 이를 변제하지 않자 미지급 대여금 및 이자에 대한 반환을 청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피고는 일부 상계 항변을 제기했으나, 원고는 피고의 기망행위를 이유로 민법 제496조의 유추적용을 주장하며 상계를 인정할 수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민법 제496조는 “채무가 고의의 불법행위로 인한 ..

사건24 2024.08.26

대법원, 후원금 반환 인정 판결: 후원금 사용의 투명성 문제와 법적 권리

2024년 8월 1일 대법원은 후원금 반환 청구 사건에 대해 중요한 판결(대법원 2024다206760 후원금반환 청구의 소)을 내렸습니다. 이 사건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양로시설과 사회복지시설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에 대한 후원금을 반환해 달라는 청구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사건의 원고는 2017년 8월부터 2020년 4월까지 월 5만 원씩 31회에 걸쳐 후원금을 송금하였고, 이 후원금이 본래의 취지에 맞게 사용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법적 다툼을 벌이게 되었습니다.​사건의 배경​이 사건의 피고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위한 양로시설과 사회복지시설 등을 운영하는 법인으로, 원고는 이 법인이 운영하는 위안부 피해자 생활시설의 홈페이지에 안내된 계좌로 후원금을 납입해 왔습니다. 그러나 후원금이 실제로는..

사건24 202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