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1. 민사법

채권자가 변제받은 금전이 편취된 것임을 알지 못했고, 변제 받은 데에 중대한 과실이 없는 경우, 채권자는 변제받은 돈을 부당이득으로 반환할 의무가 없다.

이두철변호사 2024. 10. 7. 13:13

 

등장인물

- 피고 B: 부당이득금반환 사건의 피고

- 변호사: 피고의 법률 대리인

 

피고 B: 변호사님, 이번에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에서 원고가 6,227,500원을 청구했잖아요. 저는 그 금액을 C라는 이름의 사람에게 받은 것이었는데, 이게 왜 문제가 되는 건가요?

 

변호사: 네, 선생님이 중고거래를 통해 4,700달러를 매도하고 그 대금을 받은 것이죠. 그런데 원고 측에서 주장하는 건, 그 돈이 원고가 보이스피싱 피해로 인해 잃어버린 돈이라는 겁니다.

 

피고 B: 맞아요, 그 돈이 보이스피싱과 관련된 줄 전혀 몰랐어요. 그냥 제가 거래를 하고 받은 돈일 뿐인데, 이게 어떻게 부당이득이 될 수 있죠?

 

변호사: 우선, 부당이득이라는 것은 상대방에게 법률적으로 이유 없이 이익을 취한 경우를 말합니다. 하지만, 이번 사건에서는 선생님이 악의나 중대한 과실 없이 돈을 받았다는 사실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법적으로는 금전이 편취된 것임을 피고가 알았거나 중대한 과실로 알지 못한 경우에만 부당이득반환 의무가 발생하죠.

 

피고 B: 그렇다면 저는 아무런 잘못이 없는 거 아닌가요? 그 돈이 어떻게 들어온 건지 몰랐는데.

 

변호사: 맞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은 선생님이 그 돈이 불법적으로 얻어진 돈이라는 사실을 알았는지 여부입니다. 법원은 일반적으로 '중대한 과실'이라는 기준을 사용해서 판단합니다. 즉, 선생님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더라도 이 돈이 문제 있는 돈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지 여부를 따지게 됩니다.

 

피고 B: 그럼 제가 중대한 과실이 없다는 걸 입증할 수 있을까요?

 

변호사: 이미 제출한 증거들을 보면, 선생님은 당시 거래에 있어 정당한 절차를 따랐고, 중대한 과실이 있었다고 볼 만한 증거도 부족해 보입니다. 선생님이 받은 돈이 편취된 돈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고, 그 과정에서 특별히 주의 의무를 위반한 점도 없어 보입니다.

 

피고 B: 그럼 저희가 이길 가능성은 어떻게 보시나요?

 

변호사: 현 상황에서 법원은 선생님이 그 돈을 받을 당시 악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다는 점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고 측에서 선생님의 중과실을 입증하지 못하면, 법원은 부당이득반환을 인정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판결은 선생님에게 유리하게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피고 B: 다행이네요. 그럼 판결까지 기다려봐야겠군요.

 

변호사: 네, 판결은 곧 내려질 예정이니 차분히 기다리시면 될 것 같습니다.

 

최근 보이스피싱 범죄가 급증하면서 피해자들이 잃어버린 돈을 되찾기 위해 다양한 법적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부당이득 반환' 청구인데, 오늘은 이에 관한 한 판결을 살펴보려고 합니다(전주지방법원 남원지원 2024가소158 사건). 이 판결은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부당이득금 반환을 청구했지만, 법원에서 기각된 사례입니다.

 

1. 사건 개요

 

이 사건의 사실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원고 A는 2024년 1월 12일, 딸을 사칭한 보이스피싱 범죄자에게 속아 주민등록번호와 계좌 비밀번호를 알려줬고, 그 결과 범죄자가 원격조종장치 앱을 이용해 피고 B에게 6,227,500원을 송금했다.
  • 피고 B는 같은 날 중고거래 사이트에서 C 명의를 사용하는 자에게 4,700달러를 판매하고, 그 대금으로 해당 금액을 C 명의로 송금받았다.
  • 원고는 피고에게 송금된 금액이 보이스피싱을 통해 편취된 돈이므로 부당이득금 반환을 청구했다.
  • 피고는 해당 금액이 편취된 금원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고, 정당한 거래를 통해 받은 돈이라고 주장했다.
  • 원고는 피고가 중대한 과실로 그 돈이 불법 자금이라는 사실을 알지 못했으므로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주장했다.

 

2. 법원의 판단

 

법원은 부당이득 반환 청구 사건에서 중요한 두 가지 요소인 '악의(알고 있었다)'와 '중대한 과실(알 수 있었는데 알지 못했다)' 여부를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우선, 판례를 인용하여 '채권자가 수령한 금전이 편취된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거나 중대한 과실로 알지 못한 경우에만 부당이득 반환 의무가 있다'는 법리를 강조했습니다. 이 판례는 2024년 6월 27일 대법원에서 선고된 판결(2024다216187)로, 금전 거래에서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으면 부당이득으로 볼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또한, '중대한 과실'이란 일반적인 주의의무를 현저히 위반했을 때를 의미하며, 이는 상대방이 쉽게 확인할 수 있었던 상황을 무시한 경우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따라서 채권자가 돈을 받을 당시 그 돈이 편취된 금전이라는 사실을 조금만 주의했어도 알 수 있었던 상황에서 이를 알지 못했다면, 중대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사건에서 법원은 피고가 돈을 받을 때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이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피고는 단순히 중고거래를 통해 정당하게 거래를 한 것이며, 이 돈이 보이스피싱 범죄로 인해 편취된 금전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근거가 부족했습니다. 피고가 거래 과정에서 특별히 주의 의무를 위반한 점도 없었기 때문에, 부당이득 반환 의무는 없다고 보았습니다.

 

 

3. 결론

 

이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부당이득 반환 청구 사건에서 중요한 점은 수령한 금전이 불법적인 경로로 취득된 것임을 알았거나, 주의만 기울였어도 알 수 있었는지 여부입니다. 돈을 받은 사람에게 고의나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부당이득 반환 의무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특히, 보이스피싱과 같은 범죄 피해에서 잃어버린 돈을 되찾기 위해서는 단순히 피해 사실을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피해자가 잃어버린 돈이 어디로 흘러갔는지, 그 돈을 받은 사람이 어떤 상황에서 돈을 받았는지를 명확하게 입증해야 합니다.

 

이번 사건은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했지만, 피고의 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을 입증하지 못해 청구가 기각된 사례입니다. 앞으로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을 때 피해자와 피고 모두가 이 판결에서 중요한 법적 원리를 참고할 수 있을 것입니다.

 

 

변호사 이두철 법률사무소

https://lawldc.modoo.at/

 

[변호사 이두철 법률사무소 - 홈]

042-485-3657 doorul@daum.net

lawldc.modoo.at